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한글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는
한글과 관련된 인물, 사건, 표현 등 연관 도서를 전시했어요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세종어제(世宗御製) 서문(序文)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록되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한글날 (한국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
서 명
저 자
발행자
발행년
청구기호
한글 빛나는 발명품
배성호
웅진주니어
2011
그림책308-똑똑똑-18
한글 우리말을 담는 그릇
박동화
책읽는곰
2008
그림책380.911-온고지-5
한글 피어나다
정해왕
해와나무
2009
J711.2-정해왕ㅎ
세계를 담은 한글
이현정
과학동아북스
2012
J082-토론왕ㄱ-9
다 알지만 잘 모르는 11가지 한글이야기
배유안
책과함께어린이
2010
J711.2-최경봉ㅇ
착한 글 한글
남상욱
상상의 집
2013
J711-남상욱ㅊ
한글을 지킨 사람들
김슬옹
아이세움
2013
J710-김슬옹ㅎ
주시경
이은정
비룡소
2012
J990-주시경ㅇ
경회루에서 세종대왕을 만나다
햇살과나무꾼
비룡소
2011
J813-햇살과ㅁ-11
난 한글에 홀딱 반했어
유다정
토토북
2009
J711.2-유다정ㄴ
밥상에 우리말이 가득하네
이미애
웅진주니어
2010
J712-이미애ㅈ-2
훈민정음 구출작전
서지원
한솔교육
2007
J710-서지원ㅎ-24
(세종대왕이 들려주는)훈민정음
조채린
세상모든책
2009
J990-세종ㅈ
공병우 : 한글을 사랑한 괴짜 의사
김은식
한겨레아이들
2012
J990-공병우ㄱ
한글의 슬기와 세종대왕
한문희
꿈이있는세상
2006
J710-한문희ㅎ
세종대왕, 한글로 겨레의 눈을 밝히다
마술연필
보물창고
2013
그림책990-마술연
왜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었을까
이한우
자음과모음
2011
J911-역사공ㅈ-24
점자로 세상을 열다 : 한글 점자 만든 박두성
이미경
우리교육
2006
J990-박두성ㅇ
우리말과 글을 연구하는 최경봉, 시정곤, 박영준 선생님의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책과함께, 2008)을 어린이 책으로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새롭게 글을 쓴 분은 세종 대왕의 한글 창제를 다룬 역사 동화 《초정리 편지》의 배유안 선생님입니다.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도 반대세력에 맞서야 했죠. 말과 글에 사람의 얼과 문화, 역사와 사회가 드러나기 때문에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일본어와 일본글자만 쓰도록 하기도 했습니다.
한글을 지킨 사람들 책에 실리진 않았지만, 파주에도 한글을 지킨 사람이 있었답니다. 파주 중앙도서관 앞뜰에는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인 석인 정태진 선생의 생가가 있지요. 정태진 선생은 조선어학회에서 조선말 큰사전을 편찬했습니다.
사진출처: 파주시청 http://me2.do/Far9mzxZ
기타 추천도서입니다.
부엉이 곳간에 우리말 잔치 열렸네 | 이미애 | 웅진주니어 | 2010 | J711.2-이미애 |
한글이 된 친구들 | 이호백 | 재미마주 | 2014 | 그림책711.2-이호백 |
행복한 ㄱㄴㄷ | 최숙희 | 웅진주니어 | 2014 | 아기책810-최숙희 |
한글놀이 명화사전 | 이상교 | 토토북 | 2013 | 그림책375-이상교 |
(이럴 땐 이런 말)우리말 바로쓰기 | 한대규 | 늘푸른아이들 | 2010 | J714-한대규ㅇ |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 우리말 | 우리누리 | 길벗스쿨 | 2008 | J712-우리누ㄱ |
익은말? 익은말! | 박남일 | 녹색지팡이 | 2011 | J714-박남일ㅇ |
올해 한글날에 맞추어 <국립한글박물관> 이 개관했지요. 용산 국립중앙박물관과 용산 가족공원에 연결되어 있다고 합니다. 2015년 3월 1일까지 국립한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개관 기념 특별전, ‘세종대왕, 한글문화 시대를 열다’>를 연다고 하니 관람해보세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디지털 한글박물관>도 한글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폰트 디자인업체인 산돌커뮤니케이션에서 헤이리에 운영 중이던 한글종합문화공간 <한글 틔움> 은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고 하네요.
/ 전시 기획_ 백송희 사서/ 블로그 포스팅_ 전은지 사서
'└어린이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에 읽어준 그림책 (0) | 2014.11.04 |
---|---|
테마도서 :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0) | 2014.09.06 |
테마도서 :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입니다 (0) | 2014.09.06 |